서울시 강남구 학동로 429(청담동) 기계설비건설회관 6층

전화 : 02-6240-1200

팩스 : 02-6240-1239

클릭시 해당 상세 맵으로 이동합니다.
해당하는 회원 종류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회원사 및 기관회원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회원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정의와 범위
유지관리자
업무안내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정의와 범위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정의와 범위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정의
[관련근거 : 기계설비법 제2조6호]
기계설비 유지관리(기계설비의 점검 및 관리를 실시하고 운전·운용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를 수행하는 자.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범위
아래 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설비 관련 자격 취득 또는 학과를 이수 및 졸업한 사람
책임기계설비유지관리자 자격 기준
[관련근거:기계설비법 시행령 별표5의2]
구분 분야 자격
기술사 국가기술
자격증
건축기계설비, 기계, 건설기계, 공조냉동기계, 산업기계설비, 용접
기능장 배관, 에너지관리, 용접
기사 일반기계, 건축설비, 건설기계설비, 공조냉동기계, 설비보전, 용접, 에너지관리
산업기사 건축설비, 배관, 건설기계설비, 공조냉동기계, 용접, 에너지관리
기계 직무 건설기술인 공조냉동 및 설비, 용접 특급ㆍ고급ㆍ중급ㆍ초급 건설기술인
보조기계설비유지관리자 자격 기준
[관련근거:기계설비법 시행령 별표2, 기계설비유지관리자등의 경력신고 및 등급인정 등에 관한 기준 별표1, 별표2, 별표4]
구분 종류 실무경력 및 교육
산업기사 건축설비, 배관, 건설기계설비, 공조냉동기계, 용접, 에너지관리
기능사 배관, 공조냉동기계, 용접, 에너지관리 3년 이상
기계설비
관련 자격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자격 (인정기능사)
배관, 용접, 특수용접, 에너지관리, 공조냉동기계, 판금제관, 기계가공조립, 전산응용기계제도, 생산자동화 5년 이상
자격기본법에 의한 자격 시스템에어컨 설계시공관리사, 지역난방설비관리사
기계설비
기술자
기술사 소음진동 5년 이상,
유지관리교육
이수
기능장 판금제관
기사 메카트로닉스, 소음진동,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산업기사 소음진동, 생산자동화, 정밀측정, 판금제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능사 온수온돌, 전산응용기계제도, 정밀측정, 설비보전, 생산자동화, 판금제관, 특수용접,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건설기술인 기계 직무분야 일반기계, 건설기계, 승강기 전문분야
엔지니어링 기술자 설비 전문분야
기계설비 관련 교육과정 이수 및 졸업 아래 ‘기계설비관련 학력’ 참고
기계설비관련 학력
구분 학과
대학교 건설기계과, 건축공학과, 건축공학부, 건축과, 건축기계설비공학과, 건축기계설비과, 건축설비공학과,
건축설비플랜트공학과, 건축설비플랜트과, 건축시스템공학과, 건축에너지과, 건축학과, 건축환경설비공학과, 공업교육학과, 공조기계과, 그린건축과, 그린에너지설비공학과, 그린에너지설비과, 금형공학과, 기계공학과, 기계과,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 기계산업설비과, 기계설계공학과, 기계설계과, 기계설비공학과, 기계설비과, 기계시스템공학과, 기계시스템과, 기계자동화과, 냉동공조공학과, 냉동공조설비과, 녹색산업설비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과, 빌딩설비전공, 산업기계공학과, 산업설비과, 생산기계공학과,
설비공학과, 스마트금형과, 스마트기계과, 신재생에너지공학과, 신재생에너지과, 신재생에너지학과,
에너지공학과, 에너지기계공학과, 에너지기계설비과, 에너지시스템공학과, 에너지시스템학과,
용접·접합과학공학과, 융합기계공학과, 융합기계과, 융합기계설계과, 융합기계자동화과, 정밀기계공학과,
친환경건축설비과, 친환경건축학과, 친환경에너지공학전공, 컴퓨터응용금형과, 컴퓨터응용기계공학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컴퓨터응용기계설계과, 태양광공학과, 태양광에너지공학과, 특수건설기계공학과,
특수건설기계과, IT융합기계과, IT융합기계자동화과
고등학교 건설기계과, 건축과, 건축설계과, 금형과, 금형기계과, 금형설계가공과, 금형설계과, 금형설계제작과, 금형전공, 금형제작과정, 금형제작전공, 금형테크과, 기계계열, 기계공작과, 기계과, 기계산업설계과, 기계설계과, 기계설계전공, 기계설계전공, 기계설비과, 기계시스템과, 기계장비과, 냉동공조과, 냉동기계과, 동력기계과, 디지털금형과, 디지털기계과, 메카트로닉스과, 빌딩자동화과, 산업기계과, 산업기계기술과, 산업설비검사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기계과, 산업설비전공, 산업에너지설비과, 스마트건축과, 신재생에너지과, 에너지시스템과, 에너지제어과, 자동화기계과, 자동화설비과, 자동화설비시스템과, 자동화시스템과, 자동화시스템전공, 전산응용기계과, 전산이용기계과, 정밀가공기계과, 정밀가공전공, 정밀기계과, 정밀기계시스템과, 정밀기계전공, 정밀기계조립과, 철강기계과, 초정밀기계과, 친환경건축과, 컴퓨터금형디자인과, 컴퓨터응용금형과, 컴퓨터응용기계과, 특수기계과, 특수산업설비과, 특수산업설비기계과, 특수용접과, 폴리메카닉스과, 폴리메카닉스전공, 하이텍기계과, CNC밀링과, CNC선반과